분류 전체보기
-
유튜브 동영상 틀어놓은 경우, "이어서 시청하시겠어요?"궁금증/기타 2019. 5. 5. 14:36
평소에 음악을 틀어놓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 타입인지라, 재생목록에 음악들도 넣어두고 카테고리별로 구분도 해두고 하는 편인데... 묘하게 계속 듣다보면 잘만 나오던 음악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한다. 사실 이 현상은 좀 됐는데, 도무지 참다참다 짜증이 나서 검색을 해댔다. 보통 노래를 틀어놓다보면 누군가가 편집을 해둔 2시간짜리나, 다소 긴 영상을 틀어놓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일시정지 현상은 어떤기준인지 모르겠지만 어쩔때는 10분 미만 간격으로 뜰 경우도 있다. 조금만 검색하면 이것을 뜨게 하지 않는 방법이나, 바로 자동으로 재생이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나오기는 하는데... 그냥 간단하게 "OK 이제 안뜨네." 하고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못하겠더라고... 머리통을 맞아서 혹이 났는데, 헬..
-
파동의 전파속도, 체적탄성계수와 밀도의 연관성카테고리 없음 2019. 4. 8. 11:50
무선 네트워크 강의를 듣던 도중 전파의 속도에 관한 내용이 나오고 있을 쯤이었다. 진행중인 내용은, 핸드폰 통신을 할 때 공기중의 상태에 따른 손실률, 전파속도의 변화였다. 뭐... 공기중에 이것저것있으면 방해가 되어 속도가 느려지고 손실률이 증가한다... 온도가 높으면 속도가 빨라진다.. (선형으로 증가되지만 대략 몇십도까지만 선형이고 그 위로는 세츄레이트 했던것으로 기억) 끄덕 끄덕하고 있던 도중에, 밀도.. 에서 살짝 뭔가 걸리는 것이 있었다. 명확하고 건전한 방식은 아니었지만, 주워들은 지식으로 물속에서 음파가 훨씬 빠르게 전달된다는 것을 어렴풋이 기억을 하고 있었다. 1. 수중에서 수류탄이 터지면 직격하지 않더라도 상당한 데미지가있다.(게... 게임에서 그러던데...) 2. 계곡에서 바위에 바위..
-
토익 스피킹 시험 결과.... 및 후기일상/주저리 2019. 4. 6. 20:27
일단은 결과부터 말하자면 level 6. 최소한 인턴지원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5는 나와야 된다고 기도를 하면서 시험을 봤는데, 다행히도 level 6 에 턱걸이로 통과가 되었다. 일단 시험을 본 곳은 송파역의 어느 한 컴퓨터회계학원이었는데, 방에 들어가 한명씩 시험을 보는 형식이 아니라 큰 강의실에서 여러명이 시험을 본다.( 나름 서로 간격을 두어서 시험을 보기는 한다만..) 이것저것 유의사항이나 숙지사항을 설명한 다음, 시험을 시작하는데 시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조사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문제별로 약간의 준비시간을 가지고 시작을 하게 된다.(바로시작하는 문제도 있음) 준비시간때가 되면 각자 자기 스스로 브리핑도 하고 어떻게 말할지 계획을 짜면서 중얼중얼하기 시작하는데, 문제는 시작을 했을 때.....
-
randomized quick sort - 정말로 더 나은가?궁금증/C++ 2019. 3. 28. 15:57
알고리즘에 큰 하나의 축으로 생각되는 sorting 알고리즘( 물론 제 생각입니다) 이 sorting 에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고, 각 방법마다도 또 여러 방식으로 구현을 할 수가 있다. 일단 sorting을 보자면, insertion merge selection bubble heap counting 그리고 오늘 조금 의문점을 가진 quick sort등등....이 있다. (위 사진들은 내용과 거의 상관이 없습니다.) 앞서 말한것과 같이 같은 정렬이라고 하더라도 구현방식이나 추가적인 기능은 가지각색이다.quick sort의 경우는 worst case인 인풋을 고려한 randomized quick sort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randomized에서 뭔가가... 이해가 가지 않는단 말이지...... 이..
-
C++ 배열의 선언에 관하여 - 결과공부/C++ 2019. 3. 27. 11:19
앞서 작성했던 글인 https://indrawer.tistory.com/9"C++ 배열의 선언에 관하여" 에서 적은 것처럼 따져보려고 검색을 해봤다.구글링한걸 자랑스럽게 말하는게 웃길수도 있지만, 구글이 나보다야 똑똑하더라고(물론 헛소리도 그 만큼 많음) 각설하고, "왜 마지막은 들어가지 않는가" 와 추가적으로 같은 맥락으로 "왜 0부터 시작하는가" 도 같이 찾아보았다. 일단 검색한 결과 나와 비슷한 생각을 했던 사람은 은근히 있었고, 그것에 대해서 찾아봐서 reference를 남긴 사람조차 이미 있었다.선구자에 대해서 깊고 압도적인 감사를.. 그래서 내가 찾은 문서는 Why Numbering should Start At Zero라는 문서였는데, 이 문서는 무려 EwDijkstra...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C++ 배열의 선언에 관하여궁금증/C++ 2019. 3. 27. 09:34
카테고리를 C++로 해뒀다보니 C++에서만의 이야기로 보일수도 있지만사실 일반적으로 8개의 숫자를 넣을 INT 형 변수 ARR을 선언한다고 하면 INT ARR[8] 이라고 적게 되는데....실사용부분은 0~7이다. 그렇다면 왜 직관적으로 INT[7]이라고 하지 않고 INT[8]이라고 하는것일까? 1. 8개라서 8을 쓰는게 직관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2. 7까지 쓰기때문에 7이 더 직관적이라는 말 또한 일리가 있는것 아닐까? 사실 이 의문은 int 형의 길이를 구하려는 도중에 생겼는데,(아무생각없이 int형을 strlen에 넣었더니 안돼서 띠용하고, 뭔짓을 한지 알고 띠용하고) String같은 경우는 끝에 널문자가 들어있어 끝을 확실히 할 수 있지만int 같은경우는 어떤방식으로 배열의 끝을 알 수 있을..